본문 바로가기

잡다한정보창고/생활 상식

링겔만 효과 [Ringelmann effect] 어떤 것일까?

왜 대학교 조별 모임에는 능률이 떨어지는 것일까요? 

바로 링겔만 효과 때문입니다.

독일의 심리학자 링켈만은 이러한 실험은 한 적이 있습니다. 줄다리기를 통해 집단에 속한 각 개인들의 공헌도의 변화를 측정해 보았죠. 상식적으로 줄다리기를 하였을 때, 보통 시너지효과로 더 많은 힘이 날 것들을 기대합니다.

아니면 적어도 개인이 낼 수 있는 힘이 100이라면 2명,4명,8명의 그룹은 200,400,800은 되어야 맞겠죠.

그러나 실험결과는 독특했습니다. 2명의 그룹은 잠재기대치의 93%, 3명은 85%, 8명은 겨우 49%뿐이었죠.

즉, 링겔만 효과는 그룹 속에 참여하는 개인의 수가 많을 수록 1인당 공헌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.

링겔만 효과
링겔만 효과가 확실 한 것 같습니다.
저의 대학시절에도 보면 조별과제의 능률은 답답할 정도 였으니까요.
차라리 혼자하고 싶을때가 꽤나 많았죠.

링겔만 효과는 왜 일어나는 것일까요?

바로 내가 하지 않아도 다른 사람이 일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과 회피때문입니다. 자신의 집단 내 역할과 역량을 크게 바라보지 않고 단순히 막연한 기대감의 상충이 오히려 역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지요.

이러한 링겔만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에 대한 주인의식의
강조가 가장 좋은 답일 것 같습니다.

당신이 맡고 있는 역할은 매우 중요하고, 당신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해주어야 우리 모임 혹은 조직이 잘 돌아간다는 것을 인식시켜주었을 때, 비로서 링겔만 효과에서 나타나는 공헌도의 감소치수가 증가로 바뀌게 된다는 것!

잊지마세요. 링겔만 효과 주인의식이 중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