왜 대학교 조별 모임에는 능률이 떨어지는 것일까요?
저의 대학시절에도 보면 조별과제의 능률은 답답할 정도 였으니까요.
차라리 혼자하고 싶을때가 꽤나 많았죠.
바로 링겔만 효과 때문입니다.
독일의 심리학자 링켈만은 이러한 실험은 한 적이 있습니다. 줄다리기를 통해 집단에 속한 각 개인들의 공헌도의 변화를 측정해 보았죠. 상식적으로 줄다리기를 하였을 때, 보통 시너지효과로 더 많은 힘이 날 것들을 기대합니다.
아니면 적어도 개인이 낼 수 있는 힘이 100이라면 2명,4명,8명의 그룹은 200,400,800은 되어야 맞겠죠.
그러나 실험결과는 독특했습니다. 2명의 그룹은 잠재기대치의 93%, 3명은 85%, 8명은 겨우 49%뿐이었죠.
즉, 링겔만 효과는 그룹 속에 참여하는 개인의 수가 많을 수록 1인당 공헌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.
링겔만 효과가 확실 한 것 같습니다.저의 대학시절에도 보면 조별과제의 능률은 답답할 정도 였으니까요.
차라리 혼자하고 싶을때가 꽤나 많았죠.
링겔만 효과는 왜 일어나는 것일까요?
바로 내가 하지 않아도 다른 사람이 일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과 회피때문입니다. 자신의 집단 내 역할과 역량을 크게 바라보지 않고 단순히 막연한 기대감의 상충이 오히려 역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지요.
이러한 링겔만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에 대한 주인의식의
강조가 가장 좋은 답일 것 같습니다.
당신이 맡고 있는 역할은 매우 중요하고, 당신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해주어야 우리 모임 혹은 조직이 잘 돌아간다는 것을 인식시켜주었을 때, 비로서 링겔만 효과에서 나타나는 공헌도의 감소치수가 증가로 바뀌게 된다는 것!
잊지마세요. 링겔만 효과 주인의식이 중요합니다.
'잡다한정보창고 > 생활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뜨거운 커피 빨대의 불편한 진실 (0) | 2012.04.02 |
---|---|
옥탑방 반지하 입주 전 주의사항! (0) | 2012.03.31 |
집 계약 공동명의가 유리합니다. (0) | 2012.03.23 |
결로현상 월세방 계약해지가 가능할까? (1) | 2012.03.12 |
부동산 전세 주의사항 알아봅시다! (0) | 2012.03.08 |